분류 전체보기(174)
-
백준 2240 자두나무
백 2240 자두나무 이번 문제는 자두나무이다. dp 를 이용해야 하는데, 문제에서 나오는 조건들을 배열로 만들어 저장해오면 된다. for (int i = 1; i
2022.12.31 -
백준 9251 LCS
백준 9251 LCS 오늘은 대표적인 LCS 문제를 풀어보았다. 예전에 해본적이 있었는데 가물가물해서 시간이 좀 걸렸다. LCS 의 경우 2차원 배열을 만들어 점화식을 직접 만들어보면 된다. 두 문자열에서 참조하고 있는 부분이 같은 경우 table[i][j] = table[i-1][j-1] + 1 서로 다른 경우 max(table[i-1][j], table[i][j-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1, s2; s1 = scanner.nextLine(); s2 = scanner.nextLine(); int table[][] = new int[1002][1002]; fo..
2022.12.24 -
백준 15723 n단 논법
백준 15723 n단 논법 오늘도 찬웅이형 스터디의 n단 논법을 풀었다. vector를 사용해서 연결되는 리스트만 이어주고, 2차원 배열을 통해 상하좌우를 방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어제 풀었던 문제와 유사했다. 다양한 DFS 문제를 접하는 것 같아서 참 좋다.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import java.util.Vector; public class Boj_15723 { static Vector table = new Vecto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 Scann..
2022.12.21 -
백준 13265 색칠하기
백준 13265 색칠하기 이번 문제는 DFS 를 활용한 색칠 가능 여부를 묻는 문제였다. 사실 이렇게 오래 걸릴게 아니었던 것 같은데 지금까지 상하좌우로 좌표상에서 움직이는 dfs 에 너무 익숙해져버린 나머지 너무 오래걸렸다. DFS 를 재귀를 통해 푸는 풀이가 많은데 난 아직 큐를 활용하는 방식을 고정해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이 좀 더 귀찮고 코드 길이도 길고 번거로운 것 같기도 해 재귀를 통한 방식을 새로 익히는 것도 고려 해봐야겠다. 자바에서 벡터를 이번에 처음 사용해 보았는데, 아직까진 그냥 list 와 큰 차이는 모르겠지만 자주 사용해 보아야겠다. list 를 재귀문 밖에 사용해서 지금까지 계속 틀렸다. for (int i = 0; i < t; i++) { int visited[] = new ..
2022.12.20 -
백준 1932 정수 삼각
백준 1932 정수 삼각형 오늘은 dp 문제 정수 삼각형을 풀었다. 이전 최댓값들을 가지고 있다가 업데이트 해주기만 하면 되고, 맨 마지막 줄에서 가장 큰 값을 찾는걸 저번에 이용한 Collections.max를 이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 그냥 배열로 만든걸 list로 변경해주는게 필요 했는데, 다음번에 짤땐 시작부터 리스트로 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oj_193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2022.12.16 -
git 여러개 레포지토리 하나의 레포지토리로 묶기
우테코 광탈하고 나니 내 git 에 우테코에서 한 과제들이 쌓여있다. 이거 너무 난잡한 것 같아 하나의 레포지토리에 묶고 싶어졌다. ㅎ 끝은 났지만 마지막 정리는 해야징! 우선, 여러 레포지토리들을 저장할 하나의 레포지토리를 만든다. new repository 해서 그냥 만들면 된다. 이후, clone 해서 내 로컬 저장소를 하나 만든다. !! 이제 시작이다! 만든 레포지토리에 뭐라도 하나 commit을 해놓고 시작하도록 하자. 나 같은 경우는 리드미 파일을 만들어서 push 까지 해주었다. 이제, 내가 집어넣을 레포지토리의 주소를 copy 해온다. $ git subtree add --prefix=4th_week git@github.com:miffyKing/java-bridge.git miffyKing ..
2022.12.14